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DSR 뜻, DSR 계산기 알아보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김주무관입니다~ ^^

 

 

며칠전에 친구가 분양권을 샀는데, 지금은 아니지만 DSR 규제지역으로 묶이면 나 대출이 안나오는 거야?? 이러면서 걱정을 하더라구요 ㅠㅠ

최근에 집을 매수한 사람이 저 밖에 없엇 저한테 물어보던데 ㅜㅜ

그래서 공부도 할 겸 열심히 조사해보았습니다.

또 이렇게 DSR 규제 공부를 하게 되었네요 ㅎㅎ

 

저는 아파트를 매수할 당시 비조정지역이었기 때문에, 규제 대상이 아니었답니다.


DSR 이란?

한국말로 하면, "원리금 총부채 상환비율"입니다.

차주= 돈을 빌리는 사람의 상환능력을 보겠다는 뜻입니다.

당신 돈 빌렸는데, 갚은 능력은 되는거니?

이걸 보겠다는 거죠~!!

 

계산은 어떻게 하는가 하면...

내 소득을 분모, 갚아야 되는 원리금 전체 합산액 분자로 두고, 이게 40프로 넘어가면 대출해 주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1억이라면

?/1억=40%

대출은? 4000만원 넘으면 안됩니다.

 

이때, 또 고민하는 것이 분양을 받을 당시에는 DSR 규제지역이 아니거나 혹은 규제대상 아파트가 아니었는데...

 

내가 입주 때 담보대출 신청하였는데, DSR 규제에 걸려서 대출 안나오면 난 입주를 못하는 건가??

분상제(분양가상한제) 지역은 전월세도 못주는데 ㅠㅠㅠ

 


* DSR 규제 범위: 규제지역 투기 투기과열 조정지역

(비조정 지역 해당없음)

근데, 나중에 조정지역으로 묶이면 어쩔꺼야? 그러면 당연히 DSR 적용됩니다. ㅠㅠ

 

근데, 제가 거래하는 은행에 물어보니, (공식문서 아님)

금융위에서 은행에게 규제 시행일 이전에 분양 받으신 분은 적용하지 않겠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합니다.

 

 

그럼 나의 DSR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앞에 예시에서 내 소득이 1억이라면 원금과 이자의 합산액 4000만원이라는 것입니다.

 

근데, 원금과 이자 합산액은 주택담보대출 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대출, 리스대출 등등 거의 다 들어간다고 보시면 됩니다.(전월세 자금 대출은 제외)

 

공제회 대출도 들어가는지 알아보려고 하면, 카카오에 들어가시면 신용조회라는 것이 있습니다. 여기를 보면 여기 뜨는 대출은 다 들어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주택담보대출: 은행가서 물어보면 매달 얼마 갚아야 되는지 바로 알려줍니다.

보금자리론 기준으로 3프로 정도 계산하면 3억 대출받으면, 년간 1,250만원정도 냅니다.

그렇다면, 2,750만원을 신용대출의 원리금 상환으로 가능하다는 것이죠.

 

2. 신용대출: 신용대출 전체 금액을 나누기 10년, 년 5%로 하면, 3억을 빌리면 3억/10년, 년간 이자는 1500만원이 됩니다.

그러면, 대출 연간 4500만원의 대출을 갚아야 합니다.

 

이러면 DSR 규제로는 2,750만원 밖에 한도가 안되는 대출이 안나오겠죠? 신용대출로는 2억 조금더 빌릴 수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원금이자 합산액을 2,750만원으로 맞출려면...

 

신용대출이 빌린 금액은 더 작은데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거죠.


7월 이전에는 주담대는 투기.과열지구 9억원 초과 주택에만, 신용대출은 연소득 8천초과,1억초과에 대해서만 DSR 규제를 적용했습니다.

 

근데 올해 7월 전규제지역 6억 초과 주택, 신용대출 1억 초과에 대해 DSR 40% 규제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내년 7월 총 대출2억원초과에 대해, 2023년 7월에는 총 대출 1억우너 초과에 대해, 규제를 점차 강화하겠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집을 구매하시려는 계획이 있으신 분은 DSR 규제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아! 난 어려워서 모르겠다 하시는 분~~!!!

 

제가 네이버에 DSR 계산기 검색해보니, 소득과 몇가지만 넣으면 계산을 해주는 사이트가 있네요.

그리고 앱에서 "부동산계산기"를 검색해보세요.

여기서도 계산이 되네요 ^^

 

그래도 개인의 상황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꼭 확인하시고 내집마련하시길 바래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