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족구의 증상 및 어른 전염 여부와 수족구병과 수포의 관계에 대하여

반응형

수족구병에 대해 아시나요?

 

몇달전에 딸아이가 손, 발, 엉덩이에 뭐가 나더니 수포로 변했습니다.

병원에서는 수두로 의심된다고 해서 바이러스성 약을 복용하였는데 차도가 없었습니다.

 

혹시, 수족구가 아닌가 하여 의심하였지만, 다행히 제게 전염시키거나 하지 않을 걸로 봐서는 수족구는 아니었습니다.

 

병원을 다른 곳으로 옮겨서 다시 진료하였는데, 스트레스성 이라고 ㅠㅠ

 

 

오늘은 수족구에 대해 알아보고 증상, 어른에게 감염여부, 수족구병과 수포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족구 증상

 

 

 

수족구란?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은 콕사키바이러스 A16형과 엔테로바이러스 71형에 의해 발병되는 바이러스성 피부질환입니다. 주로 영유아나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하며 손, 발, 입안, 등에 작은 수포들이 잡히는 것이 수족구 주요 증상입니다.

 

 

수족구 증상

 

1. 초기에는 미열, 식욕감퇴, 목아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는 일반적인 바이러스성 질환에서도 흔히 보이는 증상입니다.

 

2. 발진과 수포: 하루정도 지나면 손, 발, 엉덩이, 입안 등에 발진이 일어나며 작은 수포들이 나타납니다.

수포는 통증이나 가려움을 수반하기도 합니다.

 

3. 입안의 헐음: 입안에 생긴 수포들이 궤양을 일으켜 헐고 통증을 느끼면서 음식을 먹기가 힘들어 집니다.

 

4. 드물게 발열, 두통, 설사 등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수족구 어른 전염 여부

 

수족구병은 주로 아이들에게 나타나지만 전염성이 있으며 어른들에게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어른들이 수족구에 걸리면 아이들보다 증상이 경미하고 아예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른이 수족구에 걸렸다면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다른 어린이에게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감염된 사람의 침, 콧물, 타액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감염된 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같이 가지고 놀면서 전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족구 수포

 

수족구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인 수포는 보통 일주일이 넘어가면서 자연스럽게 가라앉습니다. 그러나 이 부분이 가려울 수 있어 긁는 경우 2차 감염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항상 손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족구의 예방

 

1. 위생관리: 손 씻기를 철저히 하고 공용물품에 대한 정기적인 소독이 필요합니다.

 

2.격리: 감염된 어린이는 나을 때까지 격리가 필요하며 수포가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다른 아이와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3. 치료: 특별한 치료방법을 없습니다. 아프거나 열이 나는 경우 진통제나 해열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 되기  때문에 긁어서 또다른 상처가 나지 않도록만 주의하면 됩니다.

 

 

 

수족구는 주로 어린이들에게 나타나지만 어른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손 씩기 등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딸아이가 수족구 비슷한 수포 등이 생겼을 때 저는 괜찮았는데, 제가 어른이라서 감염되었어도 증상이 안 나타날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