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부모님으로부터 어떤 기질을 물려받고 타고 났을까?
난 성격이 어떨까?
이런 궁금증이 든다면 tci검사, 일명 기질유형검사를 해보면 좋습니다.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안다는 것은 자신의 성격과 기질을 좀 더 맞는 곳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tci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CI 검사(Ten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검사는 기질과 성격을 검사하는 것으로 클로닝거라는 심리학자가 개발한 평가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개인의 성격을 기질(Temperament)와 성격(Character)구분해서 평가합니다.
1. 기질 : 부모님께 물려받은 타고난 부분
4가지 척도가 있습니다.
- 자극추구: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고 변화를 좋아하는 성향
- 위험회피: 안전을 추구하며 위험을 회피하는 성향
- 사회적 민감성: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시 하고, 어떤 일에 대하 보상을 받기위해 노력하는 성향
- 지속성: 끈기를 가지고 목표한 바를 향해 꾸준히 노력하는 성향
2. 성격: 환경과 경험에 의해 바뀌는 부분
3가지 척도가 있습니다.
- 자율성: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
- 협력성: 타인과 조화를 이루어 어떤 일을 함께 성취하는 협력적인 능력
- 자기 초월: 자신을 넘어서 좀 더 큰 것, 초월적인 존재와 만나려는 성향으로 댛표적으로 종교적인 성향
tci검사를 측정항목 별로 좀 더 풀어보면,
- 단순하고 단조로운 일을 계속하면 무기력한 느낌이 들거나, 너무 바빠서 좀 쉬고 싶다는 생각을 하다가도 막상 쉬고 있으면 공허감이 든다면, 자극추구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극추구형의 경우 연예인, 예술가, 스포츠 선수, 사업가 등이 잘 어울리지만,
일반 직장인으로서도 이런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며 일잘러가 되거나 인기직원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좀 통통 튀기 때문에 평범하지 않지만 그만큼 매력이 있습니다.
- 위험회피형은 자신과 자신의 주변이 안정적이고 어제와 같은 일상이 반복되는 것에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낍니다.
사람의 70%이상이 이 위험회피형에 속합니다.
어울리는 직업으로는 공무원, 회사원 등의 안정적인 일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 유형에 속합니다.
안정적인 것을 원하는 만큼 주위가 정돈되어 있고, 흔들림 없이 삶을 살아갑니다.
주위에 편안함을 주어 믿음, 신뢰감 등이 높은 편입니다.
- 어떤 조직에서 자신에 대한 타인들의 평가가 유난히 신경쓰인다면 사회적민감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이는 스스로를 피곤하게 하는 타입이지만, 그만큰 조직 적응력이 뛰어나서 윗사람들에게 사랑받을 확률이 큽니다.
- 지속성은 목표를 정했다면 그 목표를 향해 꾸준히 노력하는 성향입니다.
주위에 특히 목표지향적인 사람들이 있다면 이 유형이 많을 것이고,
목표가 원대하고 무언가 하지 않는 사람은 이 유형에 속하지 않습니다.
부지런하고 성실하는 평가를 받는 사람들입니다.
- 자율성은 스스로의 감정이나 행동이 절제되어 있는 주위 사람들에게 무한한 신뢰를 받는 타입입니다.
갑자기 욱하거나 화를 내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돌출행동 또한 없습니다.
- 협력성은 사회적으로 융화가 잘 되면 특히 조직에 적응을 잘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어떤 문제에 대해 사람들을 이끌어서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리더타입도 여기에 속합니다.
요즘은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세대는 개인적인 성향이 강해서 협력성에서 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목사님, 스님, 신부님, 수녀님 같은 분들은 자신보다 우월한 누군가와의 교감과 관계를 원하는 초월성을 지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tci검사올 알아본 기질과 성격,
여러분은 어떤 타입인가요? ^^